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IT/과학>IT/인터넷

[미래 먹거리, AI를 살려라] ③AI 고급 인재 '부르는 게 값', 스타트업 대부분인 AI 기업 좋은 인재 확보 '언감생심'

지난 6월 광주에서 개최된 '광주형 인공지능(AI) 일자리 창출 인재 채용설명회'. /광주광역시

인공지능(AI) 기업들이 호소하는 사업의 가장 큰 어려움 중 하나가 AI 인재 확보가 매우 어렵다는 것이다.

 

국회입법조사처가 지난 1월 발표한 '인공지능 기술활용인재 현황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AI 핵심인재 500명 중 한국 출신은 1.4%로 1위를 차지한 미국의 14.6%, 2위인 중국의 13.0%와 비교해 10분의 1 수준에 그쳤다. 특히 세계적으로 활동하는 AI 전문 인력 2만2400명 중 한국에서 활동하는 인력은 1.8%에 불과했다.

 

이처럼 국내에 AI 인재가 드물어 몸값이 높고, AI 전문업체들의 대다수가 스타트업이다 보니 유능한 석박사급 인재를 뽑는다는 것은 그야말로 '언감생심'이다.

 

◆AI 국내 석사 초봉 7000만~1억원, 실리콘밸리 박사 초봉 2억대, 최고급 인재는 '부르는 게 값'

 

AI B2C 서비스 기업의 대표 주자인 카카오·네이버는 국내 굴지의 대기업이고 AI 사업에 집중하다보니 거액을 들여 국내 AI 분야의 유능한 인재를 영입하고 있다. 다른 대기업들도 앞다퉈 AI 인력을 채용하면서, AI 인력의 초봉이 7000만~8000만원부터 시작해, AI 석사를 막 졸업하면 7000만~1억원에 연봉이 형성되고, 미국 실리콘밸리의 박사급 인재 초봉은 20만 달러(약 2억3700만원)부터 시작된다는 것.

 

한 AI 기업 대표도 "AI가 뜨거운 관심을 받으면서 인건비가 치솟아 AI 사업의 가장 큰 리스크가 되고 있다고 할 정도로, 중소기업뿐 아니라 대기업까지도 인력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AI 전공인력을 일부 기업들이 실리콘밸리 수준 대우를 해준다는 얘기가 나오고 있어 인건비가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정부가 "6개월 간 인건비 지원을 해주기도 하지만 높아진 인건비를 해결하기에 큰 도움이 되지 않는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최홍섭 마인즈랩 기술 부문 대표도 "AI 분야에서 논문으로 이름이 잘 알려진 스타급 AI 고급 개발자는 서로 모셔가려고 경쟁하다 보니 10억원을 연봉으로 제시하기도 하는 등 '부르는 게 값'일 정도로 연봉이 높다"고 설명했다.

 

한 AI 대표 기업은 박사급 인재를 구하는 것은 무리다 보니 과학영재 등 똑똑한 학부나 석사 졸업생을 뽑아 사내에서 AI 엔진을 주고 직접 가이드하면서 키우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를 통해 이들의 성장욕을 충족시키고, 능력 있는 학부 졸업생에게 1년 만에 억대 연봉을 주는 등 네이버·카카오보다 더 나은 연봉을 주고 있다고 말했다.

 

또 다른 AI 기업은 국가에서 지원하는 전문 연구요원 제도를 많이 활용하는데, 대기업에 비해 대우가 좋지 않다 보니 기간이 끝나면 바로 이직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정부 지원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지난 6월 광주에서 개최된 '광주형 인공지능(AI) 일자리 창출 인재 채용설명회' 모습./광주광역시

◆AI 인재 채용해도 현장감 부족 기대 못 미쳐, 입사 2년 후 더 좋은 회사 찾아 떠나는 건 '부지기수'

 

스타트업들이 AI 인재를 채용해도 '보여주기식 스펙'이 많다보니 실제로 산업계에서 기대에 못 미친다는 반응이 나오고 있다.

 

한 AI 기업 대표는 "AI 인력들이 산업계에 밀착되기보다 학술적, 대외적으로 스펙 쌓기에 치중하다 보니 바로 업무에 투입하기 어렵다"며 "산업계의 실제 데이터를 접하지 못한 상황에서 논문이나 외국 유튜브로만 공부한 경우가 많아 교육이 필요한 데 결국 그 부담은 고스란히 중소기업의 몫"이라고 설명했다. 또 AI 교수진 부족으로 대학에서 AI를 가르치는 교수들이 오래 전 공부한 경우가 많아, 최신 기술을 가르치지 않다보니 현장의 AI와 큰 괴리가 있다는 것.

 

AI 인재 채용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면서 양성된 인재는 2~3년 후 내로라하는 회사로 연봉을 크게 올려 이직하는 경우가 다반사이다. 이는 대기업도 마찬가지로 네이버 등으로 이직하거나, 구글·페이스북 등 아예 미국 AI 글로벌 기업으로 옮기는 경우가 종종 있다.

 

AI 업계에서는 정부에서 AI 고급인력 양성을 위해 AI 대학원을 늘리고 있는데, 이 인력들이 산업계로 배출되려면 빨라야 2022년에서 2023년에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또 인건비 문제는 AI 전문인력이 더 많이 배출되어야 자연스럽게 해소될 것으로 보고 있다.

 

한 AI 업계 대표는 "2000년대 초 인터넷 붐이 일면서 인터넷 개발자 인건비가 껑충 뛰었는데, AI 인력은 그 때보다 더 비싸다"며 "최근 AI 석·박사 학위 소지자가 점차 증가하고 있고, AI를 찾아서 스스로 공부하는 사람도 늘어 수년 후 수요·공급 문제가 해결되고 시장에서 '인건비에 거품이 있다'는 합의가 이뤄지면서 인건비가 떨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AI 인력이 여유가 생겨 대기업에서도 다 수용하지 못하면 자연스럽게 중소기업으로 흘러갈 수 있다는 것.

 

과기정통부는 '데이터 댐' 사업의 'AI 학습용 데이터 구축사업' 등을 통해 약 2만8000명의 일자리를 창출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과기정통부

◆정부 AI 디지털 인재 양성 외치치만 대부분 단기 일자리, 장기 인력 육성 시급

 

정부가 2일 '데이터 댐' 사업의 'AI 학습용 데이터 구축사업' 선정기업들이 크라우드소싱 등으로 약 2만8000명의 일자리를 창출할 계획이라고 밝히는 등 정부의 AI 일자리가 단기적인 AI 학습용 데이터 구축에 포커스가 맞춰져 있다보니 기업들은 정부의 인재 양성에 크게 기대하지 않는 모양새다.

 

한 AI 업계 관계자는 "최근 정부에서 6개월 동안 단기 데이터 구축 인력을 한 달에 180만원씩 지원해주고 협회 등을 통해 수십명의 인력을 채용하는 경우가 종종 있었는데, 이 인력을 정규직으로 전환하면 30만원을 더 주는 정도였다"며 "그러다보니 AI 디지털 인력은 기업들에는 단기 인력 지원에 그치고 있다"는 문제를 지적했다.

 

이는 정부의 고용 지표상 청년 고용률이 높이는 효과를 내기 위한 고육지책으로, "AI 기업에서는 단순 데이터 라벨링 인력 고용은 별 도움이 안 되고, 장기적인 차원의 인재 육성이 더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